작성일
2025.09.16
수정일
2025.09.16
작성자
김가랑
조회수
2

AI로 생겨난 직업, ‘AI 콘텐츠 전략가’란?

오픈AI가 채용하며 주목… 국내 기업도 채용 중
AI 활용한 콘텐츠 기획·브랜드 보이스 관리 등
4차산업 맞아 인재상 변화… ‘AI 전문성’ 결합

/일러스트=챗GPT 달리.
/일러스트=챗GPT 달리.

새로운 직업군으로 AI 콘텐츠 전략가(AI Content Strategist)가 뜨고 있다.

콘텐츠 전략가는 AI가 생성하는 방대한 콘텐츠에 ‘가치’와 ‘맥락’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AI는 빠르고 효율적으로 콘텐츠 초안을 만들 수 있지만, 인간의 감성과 비즈니스 목표를 이해해 전략적으로 다듬는 작업은 여전히 사람의 손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챗GPT의 개발사 오픈AI는 최소연봉 31만달러(4억3000만원)에 AI 콘텐츠 전략가 구인에 나섰다. 오픈AI는 ‘챗GPT의 브랜드 보이스를 정의하고 콘텐츠 전략을 주도할 인재’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페이스북의 모기업 메타와 국내 기업 업스테이지, KT도 비슷한 직군의 사람을 구인에 나섰고 다른 몇몇 기업들도 해당 직군의 채용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관계자에 따르면 AI 콘텐츠 전략가의 주요 업무는 △AI 툴을 활용한 콘텐츠 기획 △브랜드 보이스 관리 △성과 분석 및 전략 수립 △부서 간 협업 조율 등이다. 단순히 글쓰기 능력을 넘어 AI 기술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콘텐츠 마케팅 전문성, 분석적 사고력, 협업 능력 등 복합적 역량이 요구된다. AI 업계 한 관계자는 “AI가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지만, 브랜드의 목소리나 톤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면서 “이런 부분을 보완해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AI 콘텐츠 전략가의 핵심 역할이다”고 설명했다.

AI 도입으로 일부 직장이 사라지거나 대체되고 있지만, 기존의 직업에 ‘AI 기술을 활용하는 전문성’이 결합되며 새로운 직종들이 생겨나고 각광받기 시작했다. 마케터는 AI를 활용하며 AI 마케터로, 디자이너는 AI 디자이너로 거듭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AI를 활용해 자신의 전문성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것이 4차산업혁명을 맞이해 새롭게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며 “기술의 전문성 뿐 아니라 사업적 감각과 창의성을 겸비한 융합형 인재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각광받을 것이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www.newstheai.com/news/articleView.html?idxno=9039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