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8일 인공지능(AI) 인재와 현장 수요 사이 괴리가 크다고 지적했다. AI 대학원 졸업생들은 지속적인 연구를 원하지만, 기업은 당장 현장 문제를 풀 수 있는 엔지니어를 찾고 있어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에선 ‘AI 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배 장관은 이날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AI스텝업 전주기 인재양성 간담회’에 참석해 현재 AI 인재 양성의 문제점으로 수급 불균형을 지적했다. AI 대학원을 졸업한 석·박사들은 충분히 연구 환경이 갖춰진 곳에서 AI 연구를 계속하고 싶어 하는데, 기업에서는 당장 현장 문제를 푸는 AI 엔지니어를 요구하고 있어 밸런스가 맞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그는 2019년부터 10개 대학원 중심으로 AI 인재를 키워왔지만, 이런 인재들을 수용할 만한 시장 준비가 부족해 6년째 고민이 계속되고 있다며 구조적 문제를 토로했다. 특히 AI 관련 시장의 생태계가 아직 건전하게 활성화되지 않아 기업 투자도 주저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배 장관은 “선순환하는 AI 시장 생태계를 기반으로 한 전반적인 연구 환경과 인재 육성 계획을 종합적으로 세우고 싶다”고 해결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기존 AI 대학원 외에 현장 맞춤형 인재를 키워내는 ‘AX 대학원’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그동안 일부 대학원 중심이었던 인재 육성을 앞으로는 학부부터 대학원, 연구자로 발전하는 전주기에서 지원하겠다고 했다.
배 장관은 한국의 AI 경쟁력에 대해서도 긍정적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한국이 AI로 승부를 볼 수 있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고 있지만, 한국 AI는 충분히 경쟁력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근 대형언어모델(LLM) 파운데이션 모델 글로벌 경쟁에서 미국·중국 다음으로 11위권에 올라와 있는 것이 대표적 사례라고 설명했다. 배 장관은 “정부가 그동안 AI 발전을 위해 데이터 문제를 다뤄왔다면, 이제 근본적인 문제인 컴퓨팅 인프라 문제를 빨리 풀 것”이라고 말했다.
배 장관은 의대 쏠림 현상과 해외 인재 유출로 더 이상 고민하지 않을 정도로 한국이 충분히 AI 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대학과 기업, 출연연이 모두 경쟁력 있다는 평가를 들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AI스텝업 전주기 인재양성 간담회는 ‘2025 AI대학원 심포지엄’ 일환으로 진행됐다. AI대학원 심포지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AI대학원협의회가 주관하는 행사로 국내 AI 생태계 발전을 위해 정부와 학계, 산업계가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장으로 마련됐다. 심포지엄에는 AI대학원 10개교(고려대, 성균관대, KAIST, 포항공대, GIST, 연세대, 한양대, UNIST, 서울대, 중앙대)와 AI융합혁신대학원 9개교(경희대, 이화여대, 충남대, 한양대ERICA, 인하대, 아주대, 동국대, 전남대, 부산대) 등 총 19개 대학원이 참여했다.
출처: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AI 인재 수급 불균형, 선순환 구조로 돌파”-디지틀조선일보(디조닷컴 dizzo.com)